들어가는 글
앞선 포스팅에서 에피택시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세 가지 방식인 VPE, MBE, LPE에 관해 알아보겠다. 그전에 epitaxy에 관해 작성한 시리즈 글들을 보고 오시길 추천한다.
epitaxy 에피택시 1 - 개념
들어가는 글 반도체 공정에는 박막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. 대표적으로 화학반응을 이용한 CVD와 물리적인 충돌을 이용한 PVD가 있다.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데,
selectroing.tistory.com
epitaxial layer 에피택셜 박막 형성 방식
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크게 LPE, MBE, VPE 3가지 방식이 있다. 각 방식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.
Liquid phase epitaxy (LPE)
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첫번째 방식으로는 LPE, Liquid phase epitaxy 방식이 있다. 말 그대로 유체 상태에서 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방식이다. 첫 번째 방식은 혼합물이 낮은 용융점 (=녹는점)을 가진다는 특징을 이용한다. 공정이 진행되는 방식은 wafer ingot을 만드는 초크랄스키 방법과 유사하다. seed crystal을 화합물 반도체 혼합 용액 속에 담근 후 서서히 위로 들어 올려 냉각하면서 성장시킨다.
Molecular beam epitaxy (MBE)
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두번째 방식으로는 MBE, Molecular beam epitaxy 방식이 있다. 말 그대로 분자를 beam으로 쏴서 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방식이다. 기판 표면에 beam을 쏴서 기판 위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원하는 물질로 구성된 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한다. 장점으로는 기판을 저온상태에 두고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과, 형성할 에피택셜 박막의 조성 및 성분비를 정밀하게 제어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. 반면 단점으로는 장비가 고가라는 점이 있다.
Vapor phase epitaxy (VPE)
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세번째 방식으로는 VPE, Vapor phase epitaxy 방식이 있다. 이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방식이다. 이름을 보면 CVD와 PVD가 떠오를 것이다. 이 방식은 CVD 방식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. chamber 챔버에 기판을 넣고 챔버의 온도를 높여 gas의 화학반응을 통해 에피택셜 박막을 형성하는 방식이다. 챔버와 기판은 800~1100℃에 달하는 고온으로, 챔버의 외벽은 저온으로 진행된다.
'반도체 > 반도체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i의 3가지 형태 (단결정, 다결정, 비정질) 1 - 단결정 실리콘 (0) | 2023.07.22 |
---|---|
epitaxy 에피택시 4 - VPE 공정 과정 (Vapor phase epitaxy) (0) | 2023.07.20 |
epitaxy 에피택시 2 - 특징 및 활용 (0) | 2023.07.18 |
epitaxy 에피택시 1 - 개념 (0) | 2023.07.17 |
반도체 공정 주요 재료 (Polysilicon, Silicon Oxide, Silicon Nitride, Metal, Polymer) (0) | 2023.07.11 |